카테고리 없음

건강보험료 산정기준 알아보기

bear's 2018. 4. 4. 15:45

오늘은 건강보험료 산정기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월에 건강보험 연말정산 신고를 했을 텐데요.

건강보험료 연말정산 산출내역이 나왔네요.


저는 소득이 오르지 않아

징수되는 보험료가 없네요.

4월이 되면 건강보험료 연말정산 폭탄에

대한 말들이 많죠?


저는 건보료 폭탄이 되어도 좋으니

연봉 좀 올랐으면 좋겠습니다. ㅠㅠ



이번 달에도 여전히 많은 분들이

건강보험료를 환급받기보다는

징수를 하지 않을까 합니다.


저희 회사에도 환급은 거의 없고,

직원의 90%가 추가 징수를 해야 한답니다.


그래도 올해부터 추가로 납부해야 할

연말정산 보험료가 1달치 보험료 이상일 경우에는

별도 신청이 없으면 5회 분할로 자동 고지되고,

근로자가 희망하는 경우에는

일시 납부 또는 10회의 범위에서

분할납부 횟수를 변경할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을듯합니다.




즉 직장가입자는 자신의 소득에 의해서만

보험료가 산정되고,

하물며 보험료도 50%만 부담하면 된답니다.


하지만 지역가입자의 경우에는

가족 변동, 사업 개시, 폐업, 휴업,

재산 취득, 매각 등에 의해

보험료가 산정된답니다.


건강보험료 지로 영수증이 오면

보험료가 어떻게 산정되었는지 표기되어 있으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저도 남편의 건강보험료가

갑자기 너무 많이 올라 확인했던 적이 있었는데

소득이 올라 오른거 였더라구요.


그런데 어떤 분은 소득과 재산 모두

전해와 동일했는데도 불구하고,

재산 점수가 2배가 되면서

보험료가 올랐다고 하더라구요.


사실 지로영수증이 오면

별생각 없이 그냥 믿고 납부하지 않나요? ㅠㅠ


결론을 말씀드리면

자기 자신 거는 스스로 확인하고 챙기는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지로 영수증이 없는 분들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사이트를 참고하시면 되는데요.



지금부터 건강보험료 산정기준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검색사이트에서 국민건강보험 사이버민원센터를

검색한 뒤 사이트에 접속해주세요.


- 개인민원의 보험료 부과내역을 클릭한 뒤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해주세요.


- 보험료 내역은 최대 6개월분까지만

조회 가능하다고 합니다.

구분의 년월을 클릭하면

해당월 보험료 부과 상세내역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


- 건강보험 안내의 보험료 부과/산정을 클릭하면

지역가입자 부과체계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


읽어 보았는데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거나

잘못되었다고 판단되시면

소속지사로 전화를 걸어 문의해보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여기까지 건강보험료 산정기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